업데이트는 뜸하지만 댓글은 확인하고 있답니다

블로그 관련 영어

블로거 관련 영어, www 뜻, 캐노니컬 태그 사용법, 2차 도메인 리디렉션
오늘은 블로거를 옮기면서 한 일들을 써보려고 합니다. 블로그를 시작하시려는 분과 기존 블로그를 blogger로 옮기려는 분께 조금이라도 도움 되는 내용이 있으면 좋겠네요.


블로깅

블로거 다시 시작하고 옮기다

오래전에 블로그에 글 쓴다고 깨작거리다가 몇 년동안 잠수탔던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다시 글을 써야겠다고 마음 먹은 게 지난 달이었습니다.

도메인 구입

Domain 영역, 소유지
This is my domain. 여긴 내 구역이야.

인터넷에서 domain은 웹사이트 주소를 의미합니다.

도메인을 구입하다 Buy a domain name
도메인을 등록하다 Register a domain name
도메인을 블로그에 연결하다 (to) connect your blog to your domain

도메인 주소를 구입해서 블로그에 연결하실 분은 블로그 개설하면서 바로 연결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기본적으로 블로그에는 방문자가 검색 엔진을 통해서 유입됩니다.

저는 도메인을 구입하고 티스토리 블로그를 연결했는데, 방문자 유입 분석을 보면 다음 (Daum) 외의 검색 엔진에서는 검색으로 유입된 방문자 수가 0 아니면 1이었습니다.

글을 쓰고 발행을 하고 나면 검색 엔진에서 크롤링, 인덱싱을 합니다.

Crawl 

아기가 기어가는 것처럼 손과 발을 이용해서 움직이는 것을 뜻하는 말입니다. 땅에 몸을 붙이다시피 포복하는 것, 천천히 움직이는 것을 뜻하기도 합니다.

Web Crawling 웹 크롤링, 크롤링

웹 페이지에 있는 링크를 통해 새로운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는 것을 따라가는 것을 뜻합니다.

인터넷 주소에 쓰이는 www은 월드 와이드 웹 (world wide web)을 줄인말이죠.
전세계로 뻗혀있는 인터넷 망을 거미줄에 비유했기 때문에 웹 크롤링을 하는 프로그램을 web crawler(웹 크롤러)라고 합니다.
웹 크롤러를 다른 말로 search engine bots 줄여서 bots 또는 robots라고 하며 spider라고 하기도 합니다. 인터넷은 거미줄이고 웹을 수집하는 거미가 거미줄의 링크를 타고 기어가는 것입니다.

Indexing 인덱싱

영어로 Index는 색인, indexing은 색인을 만든다는 뜻입니다.

인터넷에서 인덱싱이란 웹페이지에 있는 정보를 분석, 정리하고 저장하는 것을 뜻합니다.

블로그 글을 발행하고 나면 인터넷에 새로운 페이지가 생기고 주소를 아는 사람은 그 주소로 직접 들어올 수가 있지만, 주소를 모르는 사람들은 검색 엔진에서 검색을 한 후 블로그를 방문하게 됩니다.
이렇게 검색 엔진에서 검색 결과에 내 블로그가 나오려면 인덱싱이 되어있어야 합니다.

새로 블로그를 개설해서 글을 쓰면 검색 엔진에서 크롤링, 인덱싱을 하는데 바로 등록되는 것은 아니고 시간이 걸립니다. 그래서 그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웹 마스터 도구에 등록을 해 줘야 합니다.

저는 티스토리에 예전에 쓴 글들이 있었기 때문에 구글에서 기존의 주소로 제 글들이 검색이 되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블로그에 도메인을 연결하면 블로그 글들은 주소가 2개가 됩니다.
기존에 있던 주소와 새로운 도메인의 주소가 있기 때문이죠.

기존 블로그 주소로 인덱싱이 된 글들이 있는 상태에서 도메인을 연결하면, 다른 주소에 동일한 글이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검색 엔진에서는 이것을 중복된 문서로 간주하기 때문에 새로운 도메인 주소는 검색 결과에 표시되지 않게 됩니다.

URL canonicalization

이렇게 2차 도메인을 등록했을 때 필요한 게 URL canonicalization입니다.
(Canonicalization 뜻: 표준화)
도메인 주소가 두 개일때 어떤 것을 표준으로 할 지 정하는 것이 URL canonicalization입니다.

Canonical tag (캐노니컬 태그, rel canonical)를 이용해서 내가 표준으로 하고 싶은 주소가 무엇인지 지정합니다.

캐노니컬 태그는 웹페이지의 <head>부분에 위치해야 합니다.
Html 태그는 한 쌍으로 표시되는데 헤드는 <head>로 시작하고 </head>로 끝납니다.

Html 편집 기능을 사용해서 <head>와 </head>사이에 캐노니컬 태그를 추가해 줍니다.

<link rel=“canonical” href=“새로운 도메인주소” />

티스토리는 관리>블로그>개인 도메인 설정>도메인 연결하기
여기에서 구입한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고 '변경사항 저장'을 클릭하면 됩니다.

Html에 잘 적용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관리>꾸미기>스킨 편집> html편집 (화면 오른쪽 위에 버튼이 있습니다.)

Html 편집 화면이 나오면 <head>와 </head>사이에 캐노니컬 태그가 있는지 확인하면 됩니다.

새로운 도메인 주소가 https://www.learningisuseful.com/일 경우,
<link rel=“canonical” href=“https://www.learningisuseful.com/” /> 가 있어야 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웹마스터 도구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 쓰기